대한민국 사회는 ‘외모’가 계급인 사회다. 물론 외모 외에도 직업, 학벌, 돈 등 계급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가 있지만 가장 큰 요소는 외모일 수밖에 없다. 사람을 판단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이 첫인상이라고 하는데, 첫인상에는 외모가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제 외모로 모든 것을 판단하는, 암담한 시대가 됐다. 연애도, 취업 면접도, 인간관계도. 외모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면 불이익을 받는 어처구니없는 세상이 돼버렸다.
자기 관리가 외모 관리가 된 시대다. 무릇 자기 관리라면 능력을 계발하거나 시간과 건강을 관리하는 뜻이어야 마땅하지만, 다른 어떤 것이 뛰어나든 뚱뚱하면 자기관리에 실패한 사람 취급하는 사람들의 시선은 황당하면서도 견디기 힘들다. 이런 주변의 시선은 대부분 여성들이 받게 된다. 최근 남성들도 외모 관리의 대열에 뛰어들었지만 여성들에 비하면 그것은 상당히 견딜만한 것이다.
감당하기 어려운 사회의 시선을 견디며 침묵해온 여성들이 드디어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그 목소리를 한국여성민우회가 모아 『뚱뚱해서 죄송합니까?』란 책으로 만들었다. 한국여성민우회는 성평등한 민주사회를 이룩하기 위해 노력하는 한국의 대표적인 여성운동 단체다. 만약 다른 단체나 연구자가 이런 책을 썼다면 모르겠지만, 여성을 위해 노력하는 한국여성민우회가 낸 책이라 그 진정성이 느껴진다.
대한민국에서 지금까지 『뚱뚱해서 죄송합니까?』와 같은 책이 나오지 못한 것은 “못생긴 오크녀의 자기변명이자 피해의식이라는 재갈에 물려 거의 모든 여성들은 발언권뿐만 아니라 신체적·심리적·사회적 생사여탈권을 박탈당해”왔기 때문이다.(124쪽)” 여성의 권리를 찾기 위한 운동을 보는 시선에서 마저 외모지상주의가 깔려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뚱뚱해서 죄송합니까?』의 내용처럼 뚱뚱한 사람에게 상처를 주는 첫 장소는 가정에서다. 지금 이 글을 쓰고 있는 나도 집에서 가장 많이 듣는 것은 “살 빼라”는 소리다. 매번 볼 때마다 그런 소리를 하는 것이 지겨울 만도 한데 그칠 줄을 모른다. 이제는 무덤덤하지만 “뚱뚱한 아들은 창피하다”는 말을 듣고 있으면 한숨이 절로 나온다. 주변의 시선을 감당하고 온 사람을 보듬어줘야 할 가족마저도 그런 눈치를 주니 어느 누가 세상을 견딜 수 있을까.
“지금까지도 잊을 수가 없는 일이 있어요. 제가 초등학교 때 어머니랑 같이 고층 아파트 사는 친척 집에 갔다가 나오는 길에 있었던 일이에요. 엘리베이터가 내려오다가 중간에 멈추고 어떤 아저씨가 타는 순간, 무게가 다 차서 ‘삐~’하는 거예요. 저는 아무 생각 없이 있었는데 갑자기 어머니가 완전 소심하게, “죄송합니다” 이러시는 거예요. 깜짝 놀랐어요. 그래서 제가 엄마한테 “엄마가 뭐가 죄송해, 우리가 먼저 탄 건데!” 그러니까 엄마가 “내가 뚱뚱해서 그래” 그러시는데……. 어린 마음에 가슴이 너무 아픈 거예요. 왜 우리 엄마가 먼저 탔는데 미안하다고 해야 하나 싶고요.”
- 『뚱뚱해서 죄송합니까?』 속 ‘빅뷰티’의 인터뷰 중에서
이 인터뷰를 보고 울컥할 수밖에 없었다. 나도 엘리베이터를 탈 때면 가장 앞에서 타려고 한다. 조금 늦게 엘리베이터를 타 ‘삐’ 소리라도 울리면 내가 조금 더 먼저 탔음에도 덩치 때문에 스스로 눈총을 받는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언제부터 대한민국이 이런 사회가 됐는지 알 수 없다. 뚱뚱한 게 ‘죄’인 사회, 예쁘면 모든 것이 용서되는 사회 생각하면 할수록 최악이라고 느낀다.
뚱뚱한 사람들은 차별받는다고 생각하면서도 쉽게 나서거나 뭉치지 못한다. 미국처럼 뚱뚱한 사람이 그렇게 많지도 않을뿐더러 이미 뚱뚱한 것이 ‘죄’라는 것을 내면화했기 때문이다. 뚱뚱한 사람마저도 그렇게 믿어버리는 마당에 어떤 변화를 만들 수 있을까. 하지만 『뚱뚱해서 죄송합니까?』란 책이 하나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책의 2부에서 당당하게 자신을 드러내고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에.
하나의 목소리는 힘이 약하지만 다수의 목소리는 어떤 강력한 힘을 가진다. 대한민국 사회의 외모지상주의에 대해 비판의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끊임없이 “외모 관리를 해야 사랑을 받고, 취직이 되며, 자신감과 자기애가 생기는 현실 자체에 의문을 제기해야 한다.(124쪽)” 『뚱뚱해서 죄송합니까?』가 비록 작은 책이지만, 그 작은 씨앗을 통해 언젠가는 뚱뚱한 사람들이 득은 없을지언정 차별받지 않는 세상이 오리라 믿는다.
| 책 소개(알라딘 제공) |
'책, 독서, 글쓰기 > 인문/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20대는 놀이하는 인간이 될 수 있을까?, <호모 루덴스> (4) | 2014.01.25 |
---|---|
승자독식사회에서 청춘이 살아남기 위한 방법, <88만원 세대> (3) | 2014.01.24 |
과잉연결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의 마음가짐, <과잉연결시대> (5) | 2014.01.17 |
가족의 두 얼굴 친밀함과 얽메임, <가족의 두 얼굴> (6) | 2014.01.16 |
미래에 오늘을 저당 잡힌 사람들, <넥스토피아, 미래에 중독된 사람들> (4) | 2014.01.06 |
도덕적 인간은 과연 도덕적인가, <도덕적 인간은 왜 나쁜 사회를 만드는가> (5) | 2013.12.31 |
증언할 수 없는 증언자, 프리모 레비, <시대의 증언자 프리모 레비를 찾아서> (5) | 2013.12.18 |
뚱뚱한 것이 죄가 되는 시대, <뚱뚱해서 죄송합니까?> (10) | 2013.12.13 |
공범의식의 악순환을 끊어내자, <공범들의 도시> (0) | 2013.11.08 |
자기 확신, 그거 대부분 착각인거 아시죠? (1) | 2012.09.06 |
이미지와 환상 (0) | 2012.02.22 |
비밀댓글입니다
수정해서 다시 남겼습니다~
발그림님의 책 소개를 보니 뚱뚱한 여성에 대한 이야기 같다는 느낌이 듭니다.^^
하지만 뚱뚱한 남자들도 참 별의 별소릴 다듣는 세상입니다.^^
저는 얼마전에 길을 가는데 어떤사람이 그러더군요^^
"아이고 자네 위밴드 수술할 생각이 없는가?? 그거를 하면 위가 작아져서 많이 안먹어도 빨리 배부를수가 있어서 다이어트에 도움된다네.....!" 라고 하시는데
제가 " 사람의 행복 1순위기 먹는건데 그 미1친 짓을 왜합니까?? 차라리 인생 2~30년 덜 살고 맛있게 사는게 낳겠네요 " 라고 하니 아무말 못하시더라구요^^
뭐 이런식으로 뚱뚱한 남자들도 구설이 많은데 남자들도 민우회가 있었으면 좋겠다 라는 생각이 듭니다.^^
저도 매일 뚱뚱하다는 소리를 듣는데 동병상련이... ㅠ
너무 많이 듣는 터라 이제 면역이 되서 아무 기분이 들진 않지만 지나고 나면 가슴이 참 아픕니다. 언제쯤 편견없는 세상이 올까요~ ㅎㅎ
그리고 저 말그림이라는... 발그림이라뇨 ㅠㅠ
ㅎㅎㅎㅎ 맨 윗분 ㅎㅎㅎ잠시 웃을께요 발그림님 ^^
저의 이야기인가여? ㅋㅋㅋ 저도 자주들어요....친오빠는 제가 살을 빼야 결혼할수 있다고....살빼라고 구박해요 ㅎㅎㅎ 전 반박을 하죠 지금 이모습이 싫다면 그사람은 겉모습만 보는 사람일테니 내가 아무리 살을빼서 그사람이 살뺀 날 사랑하는거라면 난 그런 사람ㅍ필요없다고 말이죠 ㅎㅎㅎ 요즘세상이....참.... 너...무...하죠 ㅎㅎㅎ
잘봤어요 ^^ 행복한 하루 감기조심하세요
저랑 같은 생각을 가지고 계시네요. 그래서 저도 연애에 관심이 급 사라졌답니다. 겉모습만 보는 진정성 없는 시대라니 참 슬픕니다. ㅜ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자주 놀러와주세요 ㅎㅎ
사람들이 배가 불러지니 뚱뚱한 것 마른 것이 비교가 되는 세상이 되었네요.
비밀댓글입니다